기본정보
강좌명 | 패키지-원자력발전소의 확률론적 지진안전성평가를 위한 구조물 및 기기의 지진취약도분석 지침(안)소개 및 예제해설 | ||
---|---|---|---|
강사 |
박홍근 교수(서울대) 송정국 실장(한국전력기술) 신명수 교수(울산과학기술원) 김두기 교수(공주대) 박지훈 교수(인천대) 이진호 교수(부경대) 김주형 박사(CU Denver Post Doc.) |
주제분류 | 일반 |
수강기간 | 40일 | 강의시간 | 408분 |
수강료 |
|
교재비 |
|
- 수강연기는 강좌별로 1회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수강재개 시 수강연기신청 시점에서 남은 기간만큼 종료일이 연장됩니다.
- 수강재개는 수강 종료일까지만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수강연기 후 수강종료일까지 재개하지 않으면, 자동으로 수강이 재개됩니다.
상세정보
원자력발전소는 시설물 중에서 가장 높은 내진성능과 안전성이 요구되는 구조물이다. 현재 우리나라의 원자력발전소의 대부분은 한반도 남동쪽 해안지방에 집중되어 있는데, 이 지역은 한반도에서 지진이 가장 활발한 지역이다. 특히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하여 발생한 후쿠시마 원전사고와 2016년 경주지진, 2017년 포항지진으로 인하여 시설물에 대한 내진요구 성능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가동원전에 대한 보다 정확한 내진성능평가를 위하여 최근에는 확률론적 내진성능평가 방법을 사용하여 원전구조물에 대한 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고 있다.
현재 실무에서는 주로 미국 EPRI등 외국 지침을 따라서 확률론적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원전환경과 기술수준에 적합하고 기술저변확대를 위하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과제로서 지진취약도분석 지침을 개발하고 있으며, 그 결과로서 한국콘크리트학회에서 기술 강좌를 개최하게 되었다. 원전구조물에 대한 지진취약도분석은 원전을 구성하는 요소, 안전요구사항, 원전의 거동 등이 일반 건축물 및 시설물과는 다르며, 따라서 평가방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방법이 상당히 다르다. 이번 강좌에서는 일반 엔지니어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급적 이해가 쉽도록 지침과 해설의 내용을 설명하며, 예제를 포함하여 보다 방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도록 노력하였다. 따라서 이 강좌는 원전 안전관리에 종사하는 엔지니어뿐만 아니라 일반 건축 및 토목 엔지니어들의 원전내진성능평가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실무에서는 주로 미국 EPRI등 외국 지침을 따라서 확률론적내진성능평가를 수행하고 있는데, 우리나라의 원전환경과 기술수준에 적합하고 기술저변확대를 위하여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의 과제로서 지진취약도분석 지침을 개발하고 있으며, 그 결과로서 한국콘크리트학회에서 기술 강좌를 개최하게 되었다. 원전구조물에 대한 지진취약도분석은 원전을 구성하는 요소, 안전요구사항, 원전의 거동 등이 일반 건축물 및 시설물과는 다르며, 따라서 평가방법에서 사용하는 용어와 방법이 상당히 다르다. 이번 강좌에서는 일반 엔지니어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급적 이해가 쉽도록 지침과 해설의 내용을 설명하며, 예제를 포함하여 보다 방법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도록 노력하였다. 따라서 이 강좌는 원전 안전관리에 종사하는 엔지니어뿐만 아니라 일반 건축 및 토목 엔지니어들의 원전내진성능평가에 대한 이해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세부강좌명 | 강의소개 | 상세정보 |
---|---|---|
강좌 개요 | 박홍근 교수(서울대) | 보기 |
지진취약도분석 지침(안) 소개 (1~2장, 8~11장) | 김주형 박사(CU Denver Post Doc.) | 보기 |
지진취약도분석 절차 및 구조물 지진취약도분석 방법 (3~5장) | 송정국 실장(한국전력기술) | 보기 |
기기의 지진취약도분석 방법 (6장) | 김두기 교수(공주대) | 보기 |
예제 A + 예제 F | 박지훈 교수(인천대) | 보기 |
예제 B + 예제 H | 김주형 박사(CU Denver Post Doc.) |
보기 |
예제 C | 신명수 교수(울산과학기술원) | 보기 |
예제 D | 김두기 교수(공주대) | 보기 |
예제 E | 김두기 교수(공주대) | 보기 |
예제 G | 이진호 교수(부경대) |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