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D 프린팅 콘크리트위원회
최근 공지사항
위원회 소개
3) 위원회 목표
‘3D 프린팅 콘크리트’ 연구위원회의 주요활동 목적은 다음과 같이 3개로 구분된다.
① 거푸집 공사 없이 적층방식으로 시공되는 3D 프린팅 콘크리트의 요구성능을 분석하여 재료의 성능을 표준화하기 위한 학술적, 기술적 연구 활동
② 3D 프린팅 콘크리트의 품질 및 관련 법규의 제도적 제정(안)을 마련하고, 품질시험 방법 및 품질기준이 설정하기 위한 연구 활동
③ 건축생산 프로세스의 단순화를 발전시키기 위한 3DCP의 표준화된 시공법 및 다양한 적층 재료의 연구 활동
이를 위하여 3D 프린팅 콘크리트 위원회에서는 학계를 비롯한 3DCP 생산/시공 업체, 레미콘 제조업체, 혼화제 제조사 및 건설사 기술자들로 구성된 관련분야 연구자들의 연구모임의 장을 제공하여 학제간의 연구협력의 기틀을 마련하도록 하며, 3D 프린팅 콘크리트의 품질 특성을 표준화 할 수 있는 연구분야를 정립시키고, 국내․외 관련 연구동향 및 지침/가이드라인을 수집, 분석하여 3DCP와 관련된 기술적, 환경적 문화적 측면의 제고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연구사업의 일환으로 국가출연 연구과제 도출, 대외학술세미나 등을 통하여 3DCP 산업 기술의 연구를 활성화하고 3D 프린팅 콘크리트 발전에 그 역할을 수행하고자 한다.
4) 위원회 설립 준비모임 요약
① 1차 발기 모임 (2022. 02. 22.) : 3D 프린팅 콘크리트 연구위원회 설립 방향, 취지 등 협의
② 2차 준비 비대면 모임 (2022. 03. 22.) : 3DCP의 3D 프린팅 콘크리트에서 재료기술 분야의 국내외 기술 현황 및 연구 동향 등 논의 및 연구전문위원회 등록을 위한 사전협의 추진
5) 위원회 주요 활동 계획 (2022-2024)
발기 및 준비 모임을 통해 국내외 3D 프린터에 적용되는 3D 프린팅 콘크리트의 시공 방법 및 요구성능등 사전 조사를 통해 향후 3년간 상기 연구전문위원회에서의 주요활동 내역은 다음과 같이 3개 영역에서 수행할 예정이다.
① 연구전문위원회의 학술적, 기술적 활성화
- 학계, 3DCP 제조사, 시공사, 정부출연연구기관, 레미콘, 혼화제의 전문가 구성을 통해 3D 프린팅 콘크리트의 품질과 시공기술에 대한 위원회의 연구, 사업체계 구성 정립
- 정기적인 학술, 기술 세미나를 통한 학술적 토대마련 (세미나는 3D 프린팅 콘크리트의 품질 기준 및 시공방법 검토 등 분기별 1회 실시)
② 3D 프린팅 콘크리트의 품질 평가 방법 제안
- 3DCP는 콘크리트 건설 분야에서 새로운 방법으로 사용 재료도 기존재료와는 다른 요구성능을 필요로 해 이에 상응하는 품질 평가 방법을 제안
ex) 3D 프린팅 콘크리트는 펌핑과 압출 공정 동안 다양한 흐름 조건을 만족해야 하며 펌핑하는 동안 혼합물은 적절한 펌핑 압력으로 일정한 배출 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충분히 유동적이어야 한다. 그 후 재료가 노즐을 빠져 나와 필라멘트 층으로 적층 된 후 자체 무게(형태 안정성)와 후속 층의 무게(가공성)로 인한 전단 응력에 저항할 수 있는 충분한 전단 강도를 필요로 함.
- 미국, 일본, 유럽에서의 3D 프린팅 콘크리트와 연계된 현황, 관련 활동, 지침 및 법령의 분석
- 상기의 기술조사, 분석을 통한 국내 3D 프린팅 콘크리트의 관련 규정의 제정을 위한 규정(안)을 제시하고 한국산업표준(KS)의 품질시험 방법 기준(안) 마련
③ 3D 프린팅 콘크리트 품질관리 시험방법 및 시공매뉴얼 집필
- 3D 프린팅 콘크리트 시공 매뉴얼 집필
- 3D 프린팅 콘크리트 품질시험 방법 실무 매뉴얼 집필
- 3DCP 시공 시 계측되는 성능의 통계 자료 수집